정치

간첩법 개정안 발의자 및 주요 타임라인

다니초이 2025. 4. 22. 18:00
728x90
반응형

간첩법 개정안 발의자 및 주요 타임라인

1. 주요 발의자

  • 윤상현 의원 (국민의힘)
    2024년 8월, 간첩죄의 적용 범위를 '적국'에서 '외국 및 국내외 단체 및 비국가행위자'로 확대하는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였습니다. 이 개정안은 외국이 국내에 단체를 만들어 간첩활동을 할 경우에도 처벌할 수 있도록 했으며, 군사기밀뿐만 아니라 국가 핵심기술 및 방위산업기술 유출 행위에 대해서도 간첩죄를 적용하도록 했습니다 .​
  • 박지원 의원 (더불어민주당)
    2024년 9월, 문재인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을 지낸 박지원 의원이 간첩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였습니다. 이 개정안은 민주당 소속 법제사법위원들을 비롯한 야당 의원들이 공동 발의에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 기타 의원들
    22대 국회 들어 간첩법 개정안은 총 7건이 발의되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장경태, 강유정, 박선원, 위성락 의원이 각각 1건씩, 국민의힘 소속 주호영, 인요한, 임종득 의원이 각각 1건씩 발의하였습니다. 이들 법안은 간첩죄 적용 범위를 기존 '적국'에서 '외국 또는 외국인 단체'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728x90

2. 국회 심의 절차 및 진행 상황

  • 2024년 11월 13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 제1소위원회에서 간첩법 개정안이 의결되었습니다. 이는 헌정사상 처음으로 간첩법 개정안이 국회 소위를 통과한 사례입니다 .​
  • 2024년 11월 14일
    개정안은 법사위 전체회의를 거쳐 본회의 의결 수순을 밟게 되었습니다.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공포 후 6개월 이후 시행될 예정입니다 .​

✅ 팩트체크 요약

    • 여야 모두 간첩법 개정안 발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각각 간첩법 개정안을 발의하였습니다.
    • 적용 범위 확대: 개정안들은 공통적으로 간첩죄의 적용 대상을 '적국'에서 '외국 및 이에 준하는 단체'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국회 심의 진행 중: 개정안은 법사위 소위를 통과하였으며, 법사위 전체회의와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습니다.

 

간첩법은 국가의 안전과 안보를 지키기 위해 제정된 법률입니다. 그러나 이 법안은 그 적용 범위와 처벌 수위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의 국제 정세 변화와 북한의 위협이 커지면서 간첩법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간첩법 개정안이 발의되었으며, 이는 국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간첩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

간첩법 개정안의 핵심 내용은 간첩죄의 적용 범위를 '적국'에서 '외국'으로 확대하는 것입니다. 이는 간첩 행위가 특정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외국의 정보 수집 활동에 대해서도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변화는 국가 안보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동시에 인권 침해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당별 입장 및 타임라인

정당별로 간첩법 개정안에 대한 입장은 상이합니다. 민주당은 개정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보였으며, 국민의힘은 이를 지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타임라인은 주요 날짜와 함께 각 정당의 입장을 정리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7월 30일 민주당은 개정안에 반대하며, 8월 1일에는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논의는 11월 13일과 12월 1일에도 계속 이어졌습니다.

국제적 비교: 간첩법

한국의 간첩법은 국제적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이 이미지는 한국, 미국, 독일, 중국의 간첩법을 비교한 것입니다. 한국은 간첩에 대해 엄격한 법적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미국은 외국 관련 간첩 행위에 대한 법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일은 국가 비밀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중국은 간첩 행위에 대해 매우 강력한 처벌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한국의 간첩법이 얼마나 엄격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간첩법 개정안의 사회적 영향

간첩법 개정안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법안이 통과될 경우, 국가 안보가 강화될 수 있지만, 동시에 개인의 자유와 인권이 침해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특히, 간첩죄의 적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일반 시민들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우려됩니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전망

간첩법 개정안은 앞으로도 많은 논란을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각 정당의 입장 차이와 사회적 우려가 상존하는 가운데, 법안의 최종 통과 여부는 불확실합니다. 그러나 국가 안보를 위한 법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향후 이 법안이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1] 대한민국 국회 홈페이지 - https://petitions.assembly.go.kr/proceed/onGoingAl... (https://petitions.assembly.go.kr/proceed/onGoingAll/2BCC3EADFDBE4209E064B49691C6967B)

[2] 머니투데이 - [기자수첩] 탄핵에 멈춰선 '간첩법 개정'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31309005741078)

[3] 연합뉴스 - 간첩죄 '외국'으로 확대…간첩법 개정안 법안소위 통과 (https://www.yna.co.kr/view/MYH20241114000300641)

[4] KBS 뉴스 - '간첩법' 두고 여야 공방…법사위 한때 파행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186326)

728x90
반응형